주식투자의 목표: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누리기 위해 주식투자를 하는 것이다.
밸류에이션에 관하여..
다우는 밸류에이션이 20이된다. (멀티플을 20배수를 준다 = 기업이 벌어들이는 돈 x20 = 다우의 전체 기업의 시총을 합친 것이 20 = PER 20)
우리나라의 주식투자 비중은 30%, 부동산이 70%
주가지수
-
경제성장률 + 물가상승률
-
기업은 실물이다.
기업은 기업의 마진을 항상 유지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라면의 가격이 100원이고, 100원에서 5원의 마진을 가져간다고 치면, 5원의 이익에 * 10정도하면 50원이 시가총액이 된다.
이 회사는 5원의 이익에서 멀티플(퍼 10)적용하면 시총이 50원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요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등으로 물가가 떨어진다.
그럼 라면값이 떨어져야 하는데,
라면의 가격이 100원이었다가 지금의 가격은 1000원인데
라면은 5%의 마진을 가져간다고 했으니까 5원에 시가총액이 50원이 되고, 여기에 *10을 해서.
그러면 1000원일 떄 50원을 가져가게 된다. 그래서 멀티플 10을 준다고 하면 시가총액이 500원이 된다.
시가총액이 물가만 상승해도 10배가 오름.
이렇게 주가지수는 경제 성장률 + 물가 상승률이다.
기업은 이렇게 끊임없이 변하게 되는 게, 라면의 가격도 올라가지만 다른 제품들도 수없이 만든다. 이렇게 기업은 실물처럼 변해간다. 그러면서 마진을 일으키고 거기서 또 이익을 일으키고 또 투자하고 그 돈으로 밸류에이션과 시가총액이 올라간다.
기업은 살아있는 생물처럼 계속해서 발전해나간다.
다우존스 지수는 100년동안 1000배 올랐다.
이렇게 주식이 끊임없이 성장하는 이유는 경제성장률 + 물가상승률이며, 복리로 끊임없이 오른다.
우리는 어떻게 밸류에이션을 어떻게 구해야하나?
-
BPS * ROE = EPS
-
(Book value / Shares) * (Return/Equity) = (Earning / Share)
-
주당순자산 * 자기자본이익률 = 주당순이익
BPS =순자산 / 주식수
Book value = 장부가치 = 총자본 = 자기자본
Equity = Book value
Return/Share = Earning/Share
Return = Earning
BPS는 자산을 말하고, ROE는 성장(수익)을 말한다.
-
EPS * ROE(100) = 적정주가
'경제,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정 주가의 계산 (0) | 2021.01.23 |
---|---|
주식대가의 주식투자법 (0) | 2021.01.22 |
주식 분할이란 무엇인가? (0) | 2021.01.21 |
지중해 부자처럼 주식투자하라. (0) | 2021.01.21 |
하버드 교수의 코로나 이후 경제 트렌드 (0) | 2021.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