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변경관리는 사소한 문제가 아니다. 변경관리에 대한 내부 요구 사항은 일반화되어 있지만, 종종 상세적인 사항에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god1n/btrMi7lRuE7/dVLKmOKqxMXk8uW1RDz8w1/img.png)
규제 요건 (Regulatory Requirements)
규제 요구 사항은 드물고 특히 EU GMP Annex 11 "Computerised Systems"은 요구 사항과 관련하여 다소 완만하다. 여기서 유일한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
Annex 11 - 10. Change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시스템 구성을 포함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모든 변경은 정의된 절차에 따라 관리된 방식으로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EU GMP Annex 15 "Qualification and Validation"에 명시된 요구 사항도 고려해야 한다. 첫 번째 필수 참조는 "Principles" 섹션에서 찾을 수 있다 .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설, 장비, 유틸리티 및 프로세스에 대한 계획된 변경 사항을 공식적으로 문서화해야 하며, 검증된 상태 또는 통제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Annex 15는 특히 다음 사항을 다룬다.
- 품질 위험 관리는 변경 관리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 변경은 책임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최종 승인 전에 변경의 영향을 평가한다.
- 변경이 구현된 후 변경의 유효성에 대하여 평가해야 한다.
PIC/S Guidance PI 011의 18T에서 변경 관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문서화에 대한 기본 요구 사항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무엇을 문서화해야 하나?
- 변경 검토 및 승인 절차(SOP)가 있어야 한다.
- 근거가 있는 제안된 변경 사항에 대한 자세한 기록.
- 변경 사항을 구현하기 전에 영향을 결정한다.
- 변경(승인 또는 거부)에 대한 검토 및 평가 기록.
- 변경 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 테스트를 포함하여 변경의 전반적인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 변경관리 절차와 형상 관리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https://blog.kakaocdn.net/dn/BYJSv/btrMiSPZ5RE/KJ0Wkz6IR5W4McYuDCaqe1/img.png)
실사 (Inspection Practice)
GMP 실사 중 어떤 종류의 결함이 발견되었나? 다음은 가장 자주 발생하는 몇 가지 예 이다.
Example 1
변경의 중요성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지 못했다.
변경 사항을 등급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EFG 11*의 AiM 07121202(Aide mémoire - 사양, 질문 및 권장 사항 카탈로그, 검사 준비, 실행 및 후속 조치의 조화를 제공함)는 분류를 설명한다. 분류 결과에 따라 변경의 발생에 따른 비용이 발생한다. 분류의 경우 실제로 다른 분류를 할 수 있다. 다음은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변형입니다.
- Class 1, 2, 3, etc.
- Major, Minor
- Critical, Significant, Insignificant, ...
- Critical, less critical, very critical, ...
Example 2
회사는 변경 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러나 이 절차를 통해 어떤 변경 사항을 처리해야 하는지는 불분명했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만 있었으며, 취급에 있어 다음 사항이 규제되지 않았다.
- 하드웨어 결함
- 보안 패치
- 사용자 계정 변경
- 감지된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필요한 변경
- 테스트 시스템 변경
보안 패치에 대해 PIC/S PI 041-1에서 확인 할 수 있다.
PIC/S PI 041-1
운영 체제 및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대한 보안 패치는 데이터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공급업체 권장 사항에 따라 통제되고 시기 적절한 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보안 패치 적용은 변경 관리 원칙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
Example 3
변경이 완료되어야 할 때까지의 기한에 대하여 구체적인 사양은 문서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변경이 완료되는 시간 간격(스케줄링)에 대한 문서화된 개념이 여기에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단계적 절차를 도입하는 것이 좋다. 적용 후 1년과 같은 사양은 매우 길어서 적합하지 않다. 그런데 이 예는 변경 제어 및 컴퓨터 시스템과 관련하여 계속해서 발생하는 결함이다.
Reference
'My Job > Pharmaceutical Quality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버든 관리 전략 (Bioburden Contamination Control) - 2 / 2 (0) | 2022.09.16 |
---|---|
“계획된” 일탈 ? (Are there “planned” deviation?) (0) | 2022.09.16 |
제약 바이오의 품질 문화(Quality culture)에 대하여.. (0) | 2022.09.16 |
표면 청정도 모니터링관련 벤치마킹 (0) | 2022.09.16 |
GMP에서의 CAPA (CAPA MANAGEMENT IN A GMP) (0) | 202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