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cubenS 213

주식투자의 기본

- 주식투자의 목표: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누리기 위해 주식투자를 하는 것이다. 밸류에이션에 관하여.. 다우는 밸류에이션이 20이된다. (멀티플을 20배수를 준다 = 기업이 벌어들이는 돈 x20 = 다우의 전체 기업의 시총을 합친 것이 20 = PER 20) 우리나라의 주식투자 비중은 30%, 부동산이 70% 주가지수 경제성장률 + 물가상승률 기업은 실물이다. 기업은 기업의 마진을 항상 유지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라면의 가격이 100원이고, 100원에서 5원의 마진을 가져간다고 치면, 5원의 이익에 * 10정도하면 50원이 시가총액이 된다. 이 회사는 5원의 이익에서 멀티플(퍼 10)적용하면 시총이 50원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요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등으로 물가가 떨어진다. 그럼 라면값이..

경제, 주식 2021.01.22

주식 분할이란 무엇인가?

- 주식 분할에 대해 알아보기 이전에 '기업의 시가총액'에 대해 먼저 짚고 넘어가자. ​시가총액이란 한 기업의 모든 상장 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것으로, 요약하자면 그 기업의 가치가 총 얼마인가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그리고 이런 시가총액은 기업의 총 주식 발행수와 1주당 가격을 곱한 것이 된다. 시가총액 = 총 주식 발행 수 X 1주당 가격 한번 예시를 들어볼까? 여기 'LEE'라는 미국의 상장 회사가 있다. 이 회사는 주식을 총 1,000주 발행했다. 그리고 1주의 가격은 현재 한화로 15,000원이다. 이런 경우 ‘LEE’의 시가총액은 '1000 X 15000'해서 1500만 원이 된다. ​그리고 주식 분할은 여기서 총 1000주가 발행된 ‘쵭’의 총 주식 수를 쪼개는 것이다. ​만약 ‘LEE’ 회사의..

경제, 주식 2021.01.21

지중해 부자처럼 주식투자하라.

- 주식은 무조건 긍정적으로 해야한다 경제는 계속 성장하기 때문에 계속 성장한다. 긍정적인 사람은 주식읗 잘 팔지않는다. 부정적인 사람은 불안해서 조금만 올라도 팔게 된다. 떨어지면 더팔고.. 손실만 늘다가 주식시장을 떠나게 된다. 장기투자하면 많은 수익으루 낸다 부정적인 사람은 투자도 잘 안한다. 100억이상의 자산가들은 다긍정적이였다. 주식 시장이 떨어져도 좋게 보고, 올라도 좋게 본다. 떨어지면 더 살수있어서 좋고, 회사가 문제 없지만 외부영향으로 침체됐으면 주기적으로 일어난다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미동이 없다. 당연히 하락도 반복되지만 결국 경제가 성장하는 만큼 주식시장도 성장하기 때문에 오르는 경우가 훨씬 많다. 좋은 주식을 사서 긍정적인 마음으로 기다려라. 좋은 주식이라는 것은 앞으로 펼쳐질 산..

경제, 주식 2021.01.21

하버드 교수의 코로나 이후 경제 트렌드

- 2020년 초반만 해도 중국의 문제로만 생각됐던 코로나19. 하지만 반년도 채 되지 않아 전 세계 경제를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주식, 채권 시장뿐 아니라 자영업자, 비정규직, 정규직 모든 사회 계층에서 경제적 변화를 체감할 만큼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그렇다면 앞으로의 경제는 어떻게 될까? 경제학자들과 하버드대 국제정치경제학 교수의 의견을 모아봤다. 경제학자들은 지금의 시대를 이른바 BC, AC 시대로 나누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BC는 코로나19 이전, AC는 코로나19 이후를 말하는데. 그만큼 코로나가 경제에 미칠 영향이 치명적이며, 경제적 후유증을 남길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이다. 한 학자는 '코로나 이전으로 절대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으며, 세계무역기구(WTO)는 올해 세..

경제, 주식 2021.01.20

존리의 주식투자

- 재테크 전문가라던가 리딩방같은 무분별한 재테크 정보가 범람하는 상황에서 올바른 정보를 가려낼 수 있는 방법은?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친구들과 같이 주식 투자 공부를 시작하는 것이다. 각자 한 종목씩 조사를 해서, 여러 개의 회사를 알게 되고, 토론하고 여러 정보를 알게 된다. 줌을 통해서도 할 수 있다. 이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본다. 이렇게 하다보면 다른 사람들의 의견도 듣게 되어 영업보고서도 같이 읽어보게 된다. 펀드매니저가 보내는 보고서를 같이 공부하는 시간등도 가지면 좋다. 한국 주식이 객관적으로 싸기 때문에 투자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다만 정부에서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해줘야한다. 최근 연기금이 30프로 넘게 해외 투자를 한다고 했음.. 한국은 지금 계속 박스권에 갇혀있지만 언젠..

경제, 주식 2021.01.16

주식 VS 부동산

-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현금 가치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 그래서 투자를 하는데, 그 중에서도 주식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 아래 그래프는 200년의 세월에 걸쳐서 금융 자산들이 어떻게 변했는지 보여준다. (미국) 주식이 다른 금융 자산에 비해서 상승률이 압도적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단기적으로는 주식 시장이 많이 출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놓고 보면 쭉~ 우상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미국 말고 한국의 경우에는 어떨까? 아래 표는 코스피와 부동산(아파트) 수익률을 비교한 것이다. 한국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주식의 상승률이 부동산과 비교해 봐도 더 크다. 그런데 좀 이상하지 않나? 주변에 보면, 부동산 투자로 돈 버는 경우가 주식 투자보단 훨씬 많은 것..

경제, 주식 2021.01.16

ETF 와 ETN : 상장지수펀드 vs 상장지수증권 같은점과 다른점

- 특정 기초지수의 움직임에 따라서 득과 실이 결정되는 투자종목 ETF와 ETN 같은점과 다른점 정리하겠음. 주식을 직접 투자하기 부담되시는 분들, ETF와 ETN 을 이용한 간접투자를 생각는데 이름도 비슷한 만큼 공통점도 많지만 발행주체나 운용방식에 있어서는 두 가지 점에선 차이를 가짐. ETF Exchange Tranded Fund 의 약자임. 상장지수펀드란 의미로 집합투자증권의 종류임. 상장이 되어있는 종목들의 기초지수의 수익률과 연동해서 움직이는 특징이 있음. ETN Exchage Tranded Note 의 약자임. 상장지수증권이란 의미로, 파생결합 증권이라 할 수 있음. ETF는 펀드의 일종으로 펀드특징을, ETN은 증권의 일종이라 증권의 특징을 가짐. 하지만 두가지 모두 특정 지수의 수익률과 ..

경제, 주식 2021.01.15

종목 발굴 및 시장 흐름의 강력하고 파워풀한 SITE!!!

- 핀비즈(Finviz) 사이트는 미국주식에 갓입문하거나 초보자들보다 어느 정도 주식투자의 경험이 있고, 매매를 하고 있는 투자자들과 나름대로 원칙과 기준을 정해서 종목 발굴이나 전체적인 시장흐름을 읽고 싶은 투자자들이 아주 파워풀하게 사용 할 수 있다고 본다. 나는 주로 일일시황, 개별 종목 스크리닝, ETF 동향, 차트 트린데 등을 분석 할 때, 이용할 예정이며, 다른 사이트에 비해 상당히 눈에 잘 들어 온다. 가독성과 직관성이 뛰어나 한눈에 쉽게 파악 할 수 있고 많은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좋을 듯 하다. www.finviz.com 위 사이트에 접속하면 가장 좌측 상단에는 종목을 검색 할 수 있는 검책창이 있다. 상단바에는 Home, News, Screener, Maps, Groups, Port..

경제, 주식 2020.09.19

연준과 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 금리라는 것은 구매력을 포기한 돈의 대가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구매력에 대해 선호하면 돈의 가치는 높아질 것이다. 경제가 좋을 때는 이러한 구매력을 쓰려고 한다. 오히려 돈을 빌려서라도 주식, 부동산 등에 투자하려고 할 것이다. 물가가 오를 것 같으면 당장이라도 구매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는 것이 금리 이다. 금리는 경제에 대한 선행성을 가지며, 이를 통해서 경제의 방향을 예측 할 수도 있다. 회사채와 국고채의 금리 차이를 “신용스프레이드”라고 하는데, 이것이 벌어지면 신용경색이 발생 할 것이라고 예측 할 수 있다.’ 바로 본론으로, 짧게, 최근 화두인 연준의 경제 전망에 대한 소견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지난 6월쯤인가? 파월 의장의 의회 발언에서 경제의 심각성을 강조하자 미국 주가..

경제, 주식 2020.08.24

객관적으로 미래 성장형에 투자 할 수 있는 지표

- 요즘 기업 투자에 있어서 미래 성장성에 배팅을 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면 좋을지 늘 고민이다. 물론, 느낌이나, 기업의 비전, CEO의 마인드, 테마를 고려해서 투자를 해 오고 있지만, 이런 주관적인 것 말고 객관적으로 분석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이는 기업의 성장률과 수익성을 함께 판단 할 수 있는 PEG(Price Earning To Growth) Ratio를 이용한다면 좀더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도 판단된다. PEG이란 말 그대로 “주가이익증가율”이라고 한다. 영문으로는 Price Earning To Growth Ratio라고 표기 되며, PER을 예상 EPS증가율로 나눈 것이다. 나의 우상 중 한명인 피터린치 형님은 이런 말을 했다. “PEG rati..

경제, 주식 2020.08.20
반응형